T1이 2023년 최고의 ‘리그오브레전드’ 팀으로 우뚝 섰다.
T1은 19일,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라이엇게임즈가 연 2023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 결승전에서 웨이보 게이밍(이하 WBG)을 세트 스코어 3대0으로 물리쳤다.
![]() |
이번 우승으로 T1은 롤드컵 통합 4회 우승이란 전무후무한 기록을 썼다. 지난 2013년, 2015년, 2016년에 이어 7년 만에 다시 챔피언의 자리에 오르며 e스포츠 왕조가 굳건함을 각인시켰다.
![]() |
![]() |
T1은 올해 롤드컵에서 압도적인 경기를 펼쳤다. 사실상 결승전으로 불렸던 4강 징동 게이밍(JDG)과 경기를 세트 스코어 3대1로 끝냈다. ‘페이커’ 이상혁의 멋진 아지르 플레이가 전 세계 게이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우승으로 그는 최고령 롤드컵 우승 기록을 커리어에 추가했다.
천둥의 신 ‘제우스’ 최우제는 절정의 기량을 발휘해 탑 라인을 지배했다. ‘오너’ 문현준은 팀을 지원하는 조율자로서 활약했다. ‘구마유시’ 이민형은 우직한 공세를 펼치는 공격수였다. ‘케리아’ 류민석은 공격적인 서포팅으로 교전(한타)을 지배했다.
모든 선수가 제 몫 이상을 하면서 폭발적인 시너지를 냈다. 결승전 모든 세트를 압도적인 격차로 끝마친 것. 1세트는 조직력을 바탕으로 경기 중반부터 주도권을 휘둘렀다. 2세트는 제우스가 스플릿 운영을 앞장서 WBG를 무너뜨렸다.
![]() |
마지막 3세트, T1은 아트록스, 리신, 아칼리, 자야, 라칸으로 한타 조합을 꾸렸다. 이에 상대는 아지르와 벨베스, 케넨으로 맞불을 놨다.
초반에는 WBG가 기세를 올렸다. 성장이 중요한 벨베스가 킬 및 어시스트를 챙기면서 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T1이 뭉치기 시작한 순간 분위기가 변했다. 18분에는 페이커가 아칼리로 상대 본진에 파고들어 트리플 킬(3연속 킬)을 따냈다. 케리아와 제우스는 시선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제대로 해냈다.
![]() |
T1은 멈추지 않았다. 탑을 정리하던 페이커가 상대의 기습을 먼저 받아쳤다. 이 선택으로 상대 주요 챔피언을 잡아낼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내셔 남작(바론) 버프를 얻어냈다. 상대 본진 앞에서 벌인 한타까지 승리하자 글로벌 골드 차이가 1만까지 벌어졌고, 드래곤 영혼도 T1이 챙겼다.
승기를 잡은 T1은 멈추지 않았다. 다소 무리한 진격도 성장차이로 버티며 압박을 가했다. 탑에서 벌인 마지막 승부까지 승리로 마친 T1은 그대로 상대 넥서스를 파괴하며 2023년 챔피언의 왕좌에 올라섰다.
![]() |
서삼광 기자 seosk@gamev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