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개최 중인 지스타 2023 GCON에서 17일, 펄어비스의 주재상 ‘검은사막‘ 개발실장이 '아침의 나라 개발기’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주재상 개발실장은 본인이 어렸을 적 수많은 게임을 즐겼지만, 제대로 된 한국 캐릭터가 없어서 아쉬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추후 ‘검은사막’을 개발하게 되면서 게임 내에 한국적인 요소를 담아내고자 하는 욕심이 생겼고, ‘금수랑‘과 ’무사’ 캐릭터를 통해 한국적인 멋을 게임 내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 |
펄어비스 주재상 개발실장 |
이때부터 ‘검은사막’은 게임 내에 한국적 요소와 색채를 담아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최근 네티즌들에게 호평받은 ‘아침의 나라’가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게임 내 지역 ’랏 항구‘를 통해 동양적인 배경을 선보인 바 있지만, 이는 맛보기에 그쳤다.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하고자 했을 때, 일본과 중국도 후보 지역으로 떠올랐지만 문화에 대한 이해도 없이 흉내내는 수준으로 만들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결국 가장 잘 알고, 가장 잘 표현하고 싶은 한국을 표현하고자 결정했고, 이로써 탄생한 것이 ‘아침의 나라’다.
‘아침의 나라’는 조선을 배경으로 삼는다. 조선을 배경으로 삼은 국산 게임이 ‘검은사막’이 처음은 아니다. 차별화를 위해 각 스튜디오 부서가 제각기 아이디어를 내며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거쳤고, 조선의 여러 설화 및 민화를 연구하며 게임 내에 색을 입혀갔다.
도사 컨셉을 지닌 ‘매구‘와 ’우사’ 역시 제작 과정에 많은 공을 들였다. 날붙이가 아닌 부채를 이용하는 디자인을 내세웠다. 이러한 컨셉이 글로벌 유저의 마음을 동하게 할지 걱정이 많았지만, 미국 LA에서 열린 ‘검은사막’ 행사에서 첫 선을 보일 당시 현장 유저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한국적 요소가 세계에 통한다는 믿음을 가지게 됐다.
‘아침의 나라’ 기존 ‘검은사막’이 선보인 것과는 판이한 방식의 플레이 스타일을 선보이는 지역이기도 했다. 스토리텔링에 방점을 두어 60개의 컷신과 소설책 두 권 분량의 텍스트를 퀘스트에 투입했으며, 민화 속의 등장하는 괴물들을 보스로 등장시켜 1:1 전투 경험을 유저에게 선사했다.
‘검은사막’은 글로벌 유저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게임인 만큼 글로벌 유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필요했다. 부모와 연관된 애틋한 이야기처럼 한국적인 색채를 담으면서도 전세계 유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를 구상했다.
이후 판소리 ‘수궁가’에서 영감을 받은 ‘수궁’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배경을 바다 속으로 확장하고, 심청전과 같은 설화를 추가로 선보이며 네티즌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
펄어비스는 현재 ‘아침의 나라: 서울(가제)’ 업데이트를 준비 중이다. 해당 지역은 아사달과 황해도를 기반으로 제작 중이며, 한국인이라면 자부심을 느낄만한 비주얼로 선보이고자 개발진들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주재상 개발실장은 전했다.
![]() |
![]() |
원동현 기자 press@gamev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