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젠은 지스타 2023 현장에서 미디어를 대상으로 신작 '테르비스'의 인터뷰를 17일, 진행했다. 여기에는 웹젠노바 천삼 대표와 윤태호 PD가 참석했다.
'테르비스'는 웹젠 자회사 웹젠노바에서 자체 개발한 서브컬처 IP로 재패니메이션 스타일을 내세운 모바일 수집형 RPG다. 2D 캐릭터와 3D 배경이 혼합된 전투 화면이 특징이며, 각 캐릭터에는 스파인 애니메이션이 적용되어 생동감을 강조했다.
아울러 일부 캐릭터에는 고퀄리티 스킬 컷신이 도입되어 유저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전투는 액티브 타임 배틀 방식을 채택해 속도감을 높였으며, 체인 스킬 시스템을 통해 전략성을 더했다.
아래는 개발사 웹젠노바 측과 미디어 간의 일문일답이다.
![]() |
Q. 미디어 믹스 계획이 있나?
A. 게임의 완성도가 중요하다 생각되어, 현재는 게임 제작에 집중하고 있다.
Q. 애니메이션 연출이 훌륭하다. 웹젠노바 자체 개발인지, 별도의 애니메이션 개발사와 협력 중인지 궁금하다.
A. 협력업체와 같이 작업하고 있다. 다만, 높은 퀄리티를 내기 위해서 웹젠노바 자체적으로도 크게 공을 들였다.
Q. 개발사 이름인 웹젠노바가 지닌 의미는 무엇인가?
A. 게임계의 별, 신성과 같은 존재가 되고 싶어 웹젠노바라 명명했다.
Q. 여타 서브컬쳐 게임과 차별점은 무엇인가?
A. '테르비스'의 특장점은 2D에 진심이라는 점이다. 소위 '덕후' 개발자들이 모인 개발사에서 만든 만큼, 진심을 담아 애니메이션 개발을 진행했다.
Q. 캐릭터 등급에 따라 스킬 애니메이션 연출 여부가 갈리는가?
A. 개발비용 상 모든 캐릭터 스킬 컷신에 애니메이션 연출을 도입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Q. 애니메이션 퀄리티가 훌륭한데, 이 퀄리티를 유지하며 업데이트가 가능할지 궁금하다.
A. 공수가 많이 들어가는 것은 사실이나, 수집형 RPG로서 이 퀄리티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게임 개발과 동시에 병렬적으로 캐릭터 애니메이션 작업을 진행 중이다.
Q. 오픈 스펙 캐릭터는 몇 종이며, 스킬 애니메이션 적용된 캐릭터는 몇 종인가? 또 주인공이 반드시 파티에 포함되어야 하고, 직업이 2개로 나뉘어져있는데 어떤 의도인가?
A. 오픈스펙으로 주인공 직업을 4개로 선보일 예정이다. 현재는 가디언과 아처가 먼저 개발되어 지스타 시연 버전으로 선보였다. 주인공의 직업을 다양하게 선보여, 유저들이 보유하지 못한 역할군을 대체할 수 있게끔 설계했다.
아울러 주인공이 반드시 참가해야 하는 만큼, 파티 인원수를 넉넉하게 5인으로 구성하여 조합의 자유도를 높였다. 오픈스펙 기준으로 스킬 애니메이션이 적용된 캐릭터는 대략 30명 전후일 것으로 예상한다.
Q. 유저들 피드백에 따라 주인공이 파티 편성에서 빠질 수도 있는가?
A. 자식 이기는 부모 없듯, 유저 이기는 개발자는 없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현재도 주인공을 제외하고 파티를 구성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다.
Q. 엔드 콘텐츠 구상은 어떤가? 호감도 시스템도 궁금하다.
A. 레이드와 같은 다양한 도전적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아울러 콘텐츠도 유저 친화적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PVP나 레이드도 비동기 매칭으로 처리하여 특정 시간대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호감도는 캐릭터 간 케미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갈 것이고, 연애 형태로 발전하지는 않을 예정이다.
Q. 스킬 애니메이션 스킵 기능이 있는가?
A. 실제로 많이 논의 중인 부분이다. 현재는 배속 기능을 추가한 상황이나, 다양한 방식을 고민 중이다.
Q. 개발진이 '덕후'를 자칭했다. 감명 깊었던 콘텐츠는 무엇이고, 어떤 철학을 담았는지
A. 개인적으로 '마크로스'가 인생에 큰 영향을 끼쳤다. 대사를 외울 정도로 대략 100번 이상을 봐온 작품이다. '뮤 오리진'을 개발할 당시에도 붉은 갑옷을 입은 흑기사 NPC에 몰래 덕심을 표현하기도 했었다. 이제는 이런 덕심을 유저들과 같이 향유하고 싶다는 생각에 '테르비스'를 개발하게 됐다.
원동현 기자 press@gamev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