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비티는 지스타 2023 현장에서 미디어를 대상으로 신작 '라그나로크 비긴즈'와 '뮈렌: 천년의 여정'에 관한 인터뷰를 16일 진행했다. 인터뷰이로는 정진화 PM, 최현진 PD, 이희수 팀장이 참석했다.
'라그나로크 비긴즈'는 기존 '라그나로'크 시리즈와 다르게 원작으로부터 100년 전의 세계관을 채택했다. PC와 모바일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멀티 플랫폼 게임으로 논타게팅 기반의 전투와 횡스크롤 기반의 설계가 특징이다.
'라그나로크 비긴즈'는 오는 12월 7일 한국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뮈렌: 천년의 여정'은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게임으로 방대한 세계관과 색다른 스토리가 특징인 수집형 턴제 RPG다. 5명의 주인공 캐릭터와 일종의 소환수인 '성흔'이 존재하며, 주인공 캐릭터와 성흔으로 파티 구성이 가능하다.
![]() |
아래는 그라비티 측과 미디어 간의 일문일답이다.
[라그나로크 비긴즈]
Q 전작에서 파티 던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유저들에게 숙제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이번 타이틀에서는 이러한 부담이 덜어졌을지 궁금하다.
숙제처럼 느껴진다는 건 일정 횟수를 돌아야 하는 것 때문에 그럴 수 있다. 하지만, '라그나로크 비긴즈'에는 플레이 횟수 제한이 있어 본인의 성장 수준 등에 맞춰 즐길 수 있다.
Q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한다. PVP 콘텐츠 등에서 PC 유저와 모바일 유저 간 콘트롤 차이가 있지 않을까?
A 실제로 그 부분을 많이 고려하고 있다. 다만, '라그나로크 비긴즈'의 모바일 콘트롤이 어려운 편이 아니고, 오히려 모바일이 더욱 콘트롤이 쉬운 부분도 있다. 직업에 대한 숙련도가 더욱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Q 이번 지스타에서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고 이용자 피드백을 받고 있는지 궁금하다.
A 현재 게임 전반의 완성도를 유저들이 어떻게 평가하는지 집중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게임 내 성장 동선, 기타 버그 등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Q 코스튬 각인 능력치가 있는 거 같은데, 과금을 유도하는 요소로 보이지 않을지? 북미 유저들의 반응은 어땠는지? 또한 발할라 쟁탈전의 경우, 실제 플레이 유저가 많지 않아 보이는데, 국내 서비스에서 문제 없을지 궁금하다.
A 한국 버전에서는 전면 리뉴얼이 됐다. 코스튬 각인 능력치는 별도로 없으며, 이름은 각인으로 남아있지만 계정 공유를 위한 시스템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아울러 발할라 쟁탈전은 실제로 출시 초기에 이용률이 저조했다. 이후 매칭 타임에 대해 수정이 이루어졌으며, 상위권 유저들이 애용하는 콘텐츠로 거듭났다.
Q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하는 게임은 아무래도 플레이어가 플랫폼을 옮겨가며 플레이를 하는 경우가 잦은데, 오류 대처는 어떻게 하고 있나?
A 아직까지 크로스 플레이를 통한 데이터 유실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뮈렌: 천년의 여정]
Q 5명의 주인공 모두 여자인 이유는 무엇인가? 또, 유사 장르인 '붕괴: 스타레일'과 비교했을 때 장점은 무엇인가?
A 현재는 여성 캐릭터 위주로 구성됐지만, 남성 캐릭터를 아예 배제한 것은 아니다. 추후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붕괴: 스타레일'을 비롯한 라이벌 게임들과는 깊이 있는 스토리로 차별화를 꾀했다.
Q 서로 다른 5개의 언어가 특징이라 했는데, 실제 게임에서 이걸 어떻게 풀어나갈지 궁금하다.
A 기본적으로 한국어 더빙이 준비되어 있으나, 5개의 다른 언어에 대해선 인게임 텍스트로 표현될 거 같다.
Q 캐릭터에 대한 몰입이 중요할텐데, 이를 어떻게 유도할 것인가?
A 캐릭터와의 대화뿐만 아니라, 캐릭터 간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스킬 등으로 캐릭터에 대한 몰입을 유도했다.
Q 개발사가 어디인지 궁금하다.
A 호요버스 출신 등 실력있는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신생 개발사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
Q 어떤 매력을 보고 퍼블리싱 결정을 했는지 궁금하다. 그리고 현지화 작업이 중요할 거 같은데,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A '뮈렌: 천년의 여정'은 다른 서브컬쳐 게임에 비해 스토리가 크게 매력적이라 느꼈다. 매력을 오롯이 전달하기 위해 번역에 크게 공을 들이고 있다.
Q 한국 전용 성흔이나 코스튬 출시 가능성도 있는지?
A 충분히 고려하고 있다.
Q 서비스 일정 및 BM은 어떻게 되는가?
A BM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다. 성흔에 관해 BM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지만, 게임을 오래 할 수록 높은 등급의 성흔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같이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서비스는 내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동현 기자 press@gamev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