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게임정책학회가 ‘위드코로나,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정책’이라는 주제로 주최한 한국게임정책포럼 창립 세미나가 25일 개최됐다.
먼저 한국게임정책학회 이재홍 회장이 ‘게임산업 육성정책 및 전략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4차 산업 혁명이 진행되던 중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여가와 놀이가 가정에서 이뤄지기 시작하면서 메타버스로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상황이 된 만큼, 게임산업의 범국가적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가 핵심 동력으로서의 게임 콘텐츠의 가치를 재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만큼 기술과 창업, 세제, 중고 게임사, 표준화, 해외진출 등의 산업 지원 정책, 콘텐츠나 장르, 스토리, 플랫폼 등 제작 역량 강화 정책, 인식 개선이나 보호 등의 문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등급이나 저작권, 확률형 아이템, 셧다운제, 질병코드, 지하 불법게임 양성화 등 법-제도 정책은 물론 인력 양성 정책, e스포츠 활성화 정책 등을 통해 게임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 및 진흥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이락지디털문화연구소 이장주 소장은 ‘놀이의 관점에서 본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게임’을 주제로 발표했다.
놀이는 필수 능력의 원초적 학습 도구이며, 인류가 진보함에 따라 노동이 줄고 여가 시간이 늘어나며 매력적 놀이가 등장하게 되는데, 빠르게 바뀌다 보니 멀미가 나고, 그것이 셧다운이나 질병코드 등 부작용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문제인 시대가 되어 반나절이 되면 세상이 바뀌는 시대가 된 것.
그리고 화두가 되는 ‘로블록스’의 핵심은 재미와 놀이가 융합되고 아이들이 핵심이 된 도구이며, 미래세대의 선점을 위한 경쟁을 하고 있지만 우리는 규제나 보호의 관점으로 보니 노를 저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혁신 시대의 게임 정책은 정책 수혜자가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관건인데, 규제는 과거 산업사회의 유산인 만큼 배고픈 시절의 건전함을 넘어 재미라는 속성을 참작해서 공급자 중심이 아니라 소비자의 니즈가 중심이 되어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게임 산업 육성은 사실 추상적인 얘기이며, 이를 넘어 국민들이 뭘 느끼고 싶은지 초점을 명확히 하면 여러 단체들까지 하나의 머리를 맞대고 하나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스포츠조선 남정석 기자는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게임산업,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정책 제언’을 통해 정책의 영향력은 강력하고 국민의 삶과 기업 운영에 절대적 영향력을 끼치며 시대의 요구에 따라 정책이 바뀌는데, 최근 화두는 규제 완화와 규제 샌드박스라고 언급했다. 그만큼 업계에서 기존 정책들에 불만이 많다는 것.
그런 만큼 정부가 정책을 만들 때 ▲간단하고 ▲예측 못 할 방법으로 ▲구체적이고 ▲믿을만하며 ▲감정에 호소하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블록체인이나 NFT, P2E, 메타버스 등 최근 이슈들은 글로벌 트렌드이기에 열리게 되어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바다이야기’에 발목이 잡혀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벗어나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확률형 아이템 이슈는 새로운 BM 공동 연구를 위한 산학 협력이 필요하고 학계가 객관적 중재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가상현실 시대의 선도자로서 MMORPG 특화 선도 콘텐츠를 만들어 글로벌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국산 게임의 e스포츠화, 게이미피케이션을 넘어 전체 산업을 리딩하고, 난립된 코딩 교육을 정리해 실무와 결합된 학과 및 기관 개설과 확장, 신기술 교육, 인문학 연관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동대학교 송석록 교수는 ‘e스포츠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발표를 통해 여러가지 e스포츠 현황을 제시하면서 지방의 e스포츠 민간 경기장 확대, 장애인/비장애인 이용 차별 철폐, 경기장 사후 활용책 마련, 프로 선수들의 저학력 문제 개선 등을 지적했다.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게임과 스포츠를 모두 다루고 있는 만큼 누가 담당할 것인가가 아닌, 함께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공존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e스포츠를 스포츠 제도권에 진입시켜 발전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격적인 지도자 육성과 관련자 교육, 선수 관련 이슈, 그리고 종목의 공공성 확보 등이 이뤄져야 하며, 이와 관련해 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상범 기자 ytterbia@gamev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