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의 장르는 무궁무진하다. RPG와 액션, 스포츠 등 친숙한 장르를 바탕으로 여러 특징을 섞여 새로운 장르가 탄생한다. 개발사가 특징을 부각하기 위해 새로운 장르를 띄우기도 한다. 수많은 장르가 난립하는 지금, 국내외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게임 장르의 특징을 간단하게 정리해 봤다.
■ RPG와 슈팅의 만남, 슈팅 RPG
![]() |
▲TPS의 슈팅 액션을 RPG와 결합한 하운즈: 리로드. 장르로 RPS를 내세웠다(출처=넷마블 홈페이지 캡쳐) |
최근 해외 게임의 트렌드는 슈팅 RPG(RPG Shooter)다. 슈팅 게임의 액션성과 롤플레잉의 육성 요소를 더해 깊이 있는 재미를 구현한다. ‘디비전2’, ‘앤썸’ 등이 여기 속한다. 아직 정확한 표기법이 정립되지 않아 슈팅 RPG 혹은 RPG+TPS로 표기하는 일이 많다. 같은 장르로 분류되는 넷마블의 ‘하운즈: 리로드’는 RPS(롤 플레잉 슈팅)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 장르의 기본은 RPG다. 임무(퀘스트)를 받고, 수행한다. 전투는 3인칭 관찰자 혹은 1인칭 시점으로 진행되며, 화기를 조준하고 발사하는 슈팅 방식을 쓴다. 반복 전투의 지루함이 줄어든 것이 강점. 대결(PvP) 콘텐츠를 구현하기 쉬운 것도 장점이다. 대신, 전투의 피로도가 높은 편이다. 느긋하게 게임을 즐기는 해외에서 큰 사랑을 받는 장르지만, 평균 플레이 타임이 긴 한국에서의 인기는 미지근한 편이다.
■ 던전 탐험의 재미가 핵심! 메트로베니아
![]() |
▲메트로베니아와 로그라이크(실패에 대한 패널티가 큰 장르)로 분류된 데드셀(출처=스팀 데드셀 페이지 캡쳐) |
‘메트로베니아’는 게임 마니아에게 친숙한 장르다. 여러 개의 방이 연결된 거대한 던전을 탐험하는 게임을 통칭한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방에서 숨겨진 요소를 찾아, 하나의 큰 퍼즐을 풀어나가는 과정이 즐길 거리다. 장르의 기본이 된 ‘메트로이드’와 ‘캐슬베니아’의 이름을 합친 것이 어원이다.
이 장르는 대작(AAA급) 게임보다 인디게임 시장에서 사랑받는다. 횡스크롤과 2D 그래픽 등 과거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요소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시작부터 끝까지 하나의 흐름을 이어가야 하기 때문에, 돌발 상황을 연출하기 어려운 것도 작은 게임에 적합한 특징이다. 최근 출시된 게임 중 ‘데드셀’이 메트로베니아 장르의 특징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으로 꼽힌다.
■ 소울본? 소울류? ‘다크소울’ 스타일!
![]() |
▲다크소울 리마스터 스크린샷(출처=프롬소프트웨어 홈페이지) |
“우리는 다크소울과 닮은 스타일을 추구한다.”
해외 개발자가 신작을 소개할 때 자주 쓰는 말이다. 유저에게 큰 사랑을 받은 ‘다크소울’ 시리즈는 개발자에게도 많은 영감을 줬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게임을 ‘소울본’, ‘소울류(Soul Like)’라 부른다. 넥슨의 인디게임 프로젝트로 탄생한 모바일게임 ‘이블팩토리’도 소울류 게임에 분류된다.
이 장르는 구분이 어렵다. 정해진 시스템이나 형태가 아닌, 유저 경험(UX)에 따라 분류하기 때문이다.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어려운 난이도, 쉬운 조작을 기반으로 한 깊이 있는 액션, 플레이를 통한 학습을 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난도가 높으니, 어려운 게임이라고 생각하면 게임을 고를 때 도움이 될 것이다.
■ MOBA? AOS?
![]() |
▲라이엇게임즈의 리그오브레전드(출처=공식 홈페이지) |
다수의 유저가 두 팀으로 나뉘어 상대 본진 건물을 파괴한다. ‘리그오브레전드’, ‘카오스 온라인’, ‘도타2’로 유명해진 AOS 혹은 MOBA 장르다. 초기에는 장르의 시발점으로 꼽히는 ‘스타크래프트’ 속 유즈맵 ‘Aeon of Strife’의 줄임말인 AOS로 불렀다. 최근에는 ‘리그오브레전드’를 개발 서비스하는 라이엇게임즈가 제시한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가 대중적으로 쓰인다. 한국어로는 다중 사용자 온라인 결투 전장으로 직역되는데, 기자는 유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팀기반대전게임으로 풀이하는 편이다.
두 팀이 경쟁하는 방식은 여러 장르와 게임에서 사용돼 왔다. 여기에 상대 진영과 건물(오브젝트)을 파괴하는 공성전과 실시간 대결(PvP)을 더한 것이 MOBA 장르가 차별화된 점이다. 개인 실력으로 캐릭터를 키우고, 팀이 힘을 합쳐 치루는 전투를 평균 20~40분 정도의 짧은 시간에 즐길 수 있다는 것도 바쁜 현대인에게 사랑받는 이유로 꼽힌다. 참고로 개인의 실력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보는 재미도 충분해 e스포츠 종목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누가 살아남을 것인가, 배틀로얄
![]() |
▲출처=pubgmobile.com |
배틀로얄은 레슬링 용어다. 다수의 레슬러가 실력을 겨루고, 마지막까지 링에 남은 사람이 승리하는 경기 방식을 뜻한다. 게임 장르의 배틀로얄도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최후의 1인을 뽑는 규칙을 적용한 게임을 구분할 때 쓴다. 일부에서는 이런 특징을 빗대 생존게임(서바이벌)이라 부르기도 한다.
기존 FPS의 개인전, 경쟁전 모드와 차이점은 규모다. 작품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50~100명의 유저가 한 게임에 참가한다. 또, 게임을 시작한 뒤 총기와 아이템을 찾는 ‘파밍’과 넓은 오픈필드가 전장이란 점도 다르다.
‘배틀로얄’ 장르는 펍지주식회사의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PUBG)’로 한국에서 대중화됐다. 해외에서는 ‘하이지(H1Z1)’와 ARMA3 모드(MOD)가 먼저 사랑받았다. 최근에는 에픽게임즈의 ‘포트나이트’, 일렉트로닉아츠(EA)의 ‘에이펙스레전드’가 인기를 끌기도 했다.
서삼광 기자 seosk@gamevu.co.kr